벌써 7월! 올해의 반이 지나가고
후반전이 시작되었어요.
혹시라도 아쉬운 상반기를 보내셨다면
다시 한 번~ 심기일전^^ 역전의 한판승을 응원합니다. 
무엇보다 건강하고 평화로운 나날이기를,
"꿈결처럼 초록이 흐르는 이 계절"을 
기쁨과 감사로 누리시기를 기도하며 서울Y 소식 전합니다.
[초대]

청(소)년이라면~ 올 여름엔,
서울YWCA 평화통일캠프!

서울Y가 평화를 사랑하고 통일을 꿈꾸는 청(소)년과 함께 캠프를 엽니다. '청(소)년과 여성, 기억을 잇다! 평화를 함께 걷다!'를 주제로 7월 26일(토)부터 총 5회에 걸쳐 진행되어요. 평화통일 역사의 기록에서 소외되고 변두리에 놓여있던 '여성운동가'의 존재를 '서울'이라는 장소에서 만나고 느껴보는 시간입니다. 오전에는 전문가 강의로 지적 호기심을 높이고, 오후에는 전문가와 함께 평화·통일의 현장으로 직접 떠나요! 
이렇게 뜻깊은 캠프가 무려 무료! 점심식사도 제공됩니다. 지금 바로 신청 GO GO~
[칼럼] 
한 문장으로 쓰는 평화
선 밖으로 나가는 평화의 영성  

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 모두는 경계 위에 서 있습니다. 그러나 그 경계는 끝이 아니라 새로운 가능성의 시작으로 해석할 수도 있겠지요. 서울Y는 '한 문장으로 쓰는 평화 - 시대의 언어로 다시 쓰는 평화·통일 이야기'라는 기획으로 평화칼럼를 시작합니다. 경계에 서 있으나 새로운 경계로 이동해 갈 수 있다는 희망을 담아 7번의 연재를 이어갈 계획입니다. 
첫 번째 칼럼은 '선 밖으로 나가는 평화의 영성'을 주제로 배민수 목사(봄봄미니스트리 대표, 여명학교 협동교목)와 함께했습니다. 전문은 서울Y 블로그를 통해 만나볼 수 있습니다. 
👍 한문장 요약 
"편을 가르는 세상 속에서 '선 밖으로' 나가 온전한 하나됨과 평화를 이루자!"
[참여]
‘모두 돌봄ON(溫)’ 프로젝트
실천형 돌봄 키트 개발

여전히 많은 가정에서 ‘누가 돌볼 것인가’를 두고 갈등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일상적인 가사와 자녀 돌봄이 여전히 여성에게 과도하게 집중되고 있는 현실 속에서, 우리는 질문을 던졌어요. “돌봄은 누구의 몫인가?” 이 질문이 바로 '모두 돌봄ON(溫)' 프로젝트의 시작이었습니다. 서울Y는 성평등한 돌봄 문화를 만들기 위해 한국사회의 현실에 맞춰 함께 돌봄을 실천할 수 있는 키트를 개발했습니다. 이 키트는 가정 내 불평등한 돌봄 노동을 가시화하고, 공정한 분담을 도모하기 위한 도구인데요. 참여자는 키트를 활용해 서로의 역할과 책임을 조율하며 공감과 협력을 바탕으로 지속 가능한 돌봄 문화를 직접 경험할 수 있습니다. '모두 돌봄ON(溫)' 키트는 집안일카드(총 120장), 가족노트(워크북)로 구성되어 구체적으로 자신의 돌봄 습관을 돌아보고 조율하며 실천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이 프로젝트의 궁극적인 목표는 단순히 집안일을 나누는 것이 아니에요. '서툴지만 함께하는 돌봄'을 통해 가정 내 성평등 문화를 실현하고, 돌봄의 사회적 가치를 되살리는 것입니다. '모두 돌봄ON(溫)'이 개인의 실천을 넘어, 사회 인식 개선과 제도적 변화로 이어지는 밑거름이 되기를 바랍니다. 이 프로젝트는 2025년 10월까지 계속될 예정이며, 키트를 직접 체험해보고 싶은 이의 관심과 참여를 기다립니다. 우리 가정의 돌봄 스위치를 함께 켜보는 이 따뜻한 실험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지금 바로 신청하세요~~^^
[모집]
함께하는 우리집, 살림프로젝트
서울Y가  '모두 돌봄ON 프로젝트' 가족 챌린지를 시작합니다. '모두 돌봄ON' 키트를 바탕으로 전문가와 함께 14일간 진행되는 돌봄 프로젝트에 도전하세요! 

실천형 키트 + 전문가 강의 + 실천 미션으로 함께 돌보며, 더 다정해지는 우리집의 일상을 경험해 보세요. 비혈연가구도 신청이 가능하니 많은 관심 부탁드려요:D 

[카카오 같이가치 모금]
미얀마에 학교를 지어주세요
미얀마 청소년들이 다시 배우고 꿈꿀 수 있도록 ‘희망의 학교’를 세워 주세요!

서울Y는 2021년 군부 쿠데타 이후 계속되는 분쟁으로 여러 어려움에 처해 있는 미얀마와 계속 연대하고 있습니다.

연대를 기반으로 미얀마 청소년들에게 용기와 희망을 전하고자 ‘카카오 같이가치’ 플랫폼을 통해 기금 마련에 함께합니다.

서울YWCA
ynews@seoulywca.or.kr
서울시 중구 명동11길 20 서울YWCA 02-3705-6000
수신거부 Unsubscribe